광합성 2

지구의 식물은 얼마나 건강할까?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Living Planet Programme (9) - FLEX 미션 2021.06.17 09:00 김민재 칼럼니스트 형광량 측정 – 식물은 얼마나 광합성을 잘하고 있을까? 식물의 엽록체(chloroplast) 안 엽록소(Chlorophyll)에서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물을 분해하고 (명반응이라 일컬음)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서 (암반응이라 일컬음) 유기 양분인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과정을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고 한다. 이처럼 식물은 산화 환원 반응을 수반한 광합성을 통하여 에너지원을 얻는다. 이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동물의 호흡 과정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호흡은 전자가 탄수화물로부터 이탈되면서 에너지 준위가 낮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안정된 물 분자..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1940년 탄소14를 만든 마틴 캐먼(오른쪽)과 이를 확인한 사무엘 루벤(왼쪽)은 2차 세계대전으로 광합성 연구가 중단된 뒤 전쟁 관련 연구를 하다 캐먼은 스파이 혐의로 연구소에서 쫓겨나고 루벤은 독가스 실험 중 사고로 사망했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제공 1946년 어느 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화학자 멜빈 캘빈 교수는 뜻밖의 제안을 받았다. 1934년 원형 입자가속장치인 사이클로트론을 처음 만들어 193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버클리방사선연구소(현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의 어니스트 로렌스 소장이 탄소14를 이용한 광합성 연구를 해보지 않겠느냐고 의사를 물어본 것이다. 원래 광합성 연구는 1940년 연구소에서 사이클로트론으로 가속시킨 중양자(중수소의 원자핵)를 흑연에 충돌시켜 탄소14를 만든 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