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창조주 하나님의 사회: 이런 일이?

‘스마트팜’ 양적 성장세…로봇이 농사짓는 시대 성큼

heojohn 2022. 8. 14. 00:40

력 : 2022-08-12 00:00

 

[한국농업 틀을 바꾸자-기획1] 시설

국내 현주소는

시설원예 보급면적 7년새 16배

스마트축사는 5000가구 육박

투자비용 부담으로 품목 편중

데이터 축적·규모화 ‘선결과제’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 밸리 모습. 이곳에서 교육을 이수한 청년들이 땅을 빌려 토마토를 생산하고 있다. 김제=현진 기자

고비용 농업에 대한 해법으로 무인화·자동화·정밀화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스마트팜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을 조망해봤다.



◆한국형 스마트팜의 역사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인공지능(AI)·로봇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대상 품목에 따라 시설원예, 축산, 노지작물·과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마토·파프리카·딸기 등 시설원예의 경우 ‘스마트팜’, 한우·양돈 등 축산분야는 ‘스마트축사’, 쌀·콩·사과·배 등 노지작물·과수는 ‘노지스마트팜’이라 부른다.

국내 스마트팜 도입의 역사는 약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년 ‘농림식품 과학기술 육성 중장기계획(2013∼2022년)’을 수립하며 스마트팜 보급과 연구개발(R&D)의 추진 근거를 마련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스마트팜은 1∼3세대로 구분된다. 스마트폰 온실제어 시스템 등 원격제어 단계의 1세대 뒤를 이은 2세대 스마트팜은 데이터 기반 생육관리 소프트웨어 등 정밀기술로 발전했다. 비교적 최근 등장한 3세대 스마트팜의 대표 예시는 AI·무인자동화 단계의 지능형 로봇 농장이다.



◆숫자로 보는 스마트팜

국내 스마트팜 시장은 양적으로 큰 성과를 거뒀다. 2014년 405㏊였던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면적은 2021년 6485㏊로, 23가구에 보급됐던 스마트축사는 4743가구로 늘어났다. 2022년 목표로 하고 있는 7000㏊·5750가구에 근접한 성장세다.

2014년 464억원에 불과했던 시설 보급·확산, 산업인프라 구축, R&D 등 관련 예산이 2022년 3044억원으로 늘어난 데 힘입은 결과다.

아쉬운 대목도 있다. 특정 작물 편중 현상이다. 2020년 품목별 스마트팜 보급 비중은 딸기·참외·토마토·파프리카 등 네개 품목이 81.1%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노지작물·과수 부문의 스마트팜 보급 실적은 극히 미미해 우리나라 농업 전반에 정착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같은 품목별 편중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적지 않은 시설투자 비용이 소요돼 부가가치가 낮은 작물엔 도입이 어렵고, 실증을 통한 실용화 지원과 각종 교육 지원사업이 주요 품목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축산분야 축종별 스마트축사 보급 비중은 한우(60%)·돼지(16.3%)·낙농(15.4%)·닭(7.3%) 순으로 나타났다.



◆규모화·데이터활용 ‘먼 길’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우선 규모화가 대표적 과제로 꼽힌다. 수익성·경영효율성 등 농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스마트팜 시설면적 규모화를 도모해야 함에도 우리나라의 스마트팜은 소규모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어서다. 시설원예부문 연도별 농가당 보급면적 추이를 살펴보면 2017년 0.72㏊(2178평), 2019년 0.58㏊(1755평), 2020년 0.51㏊(1543평)로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원예 선진국인 네덜란드가 평균 3㏊ 정도의 규모화를 이룬 것과 대별되는 수치다.

데이터 수집·활용 현황도 숙제다. 스마트팜이 성공하려면 농업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분석하는 것이 기본인데 2020년 기준으로 데이터 수집이 이뤄지는 비중이 시설원예 65.2%, 축산 58.9% 노지작물·과수 22.4%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