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이 국내 최초로 전기자극을 이용해 간암 세포를 사멸시키는 데 성공했다. 시술을 받은 간암 2기 환자는 현재 퇴원 후 일상생활 중이다.
세브란스병원은 김도영 소화기내과 교수와 김만득 영상의학과 교수팀이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IRE)을 이용해 간암 환자를 치료했다고 8일 밝혔다.
IRE는 암 주변 피부에 2mm 정도의 틈을 만들어 침을 꽂은 후 고압 전기를 쏴 암세포를 사멸하는 치료법이다. 가정용 콘센트 전압인 220V(볼트)의 10배 이상인 최대 3000V의 전기를 사용한다.
미국이 개발해 현재 유럽 등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IRE는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 효과가 적은 환자에게 사용하는 신치료기술이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 임상 연구를 위해 세브란스병원이 2016년 도입했다.
암이 발생한 부위에 고강도의 전기를 쏘면 세포막에 아주 미세한 크기의 구멍들이 생긴다. 이로 인해 암세포는 세포 안팎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죽는다. 암세포가 사멸되는 것은 물론 체내 면역세포 활동도 촉진된다.
이번 간암 환자 사례는 장과 간 사이의 혈관인 간문맥 등 주변 장기와 간암 조직이 닿아 있었다. 김만득 교수와 김도영 교수는 고주파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기존의 간암 국소 치료법으로는 치료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기존 치료법의 높은 열이 주변 장기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IRE 치료를 결정했다. IRE는 시술 과정에서 열에너지가 발생하지 않고 암세포만 타격해 암 주변 혈관과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 기존에 췌장암, 전립선암 등에 IRE가 적용돼왔지만 간암은 이번이 국내 처음이다.
시술을 무사히 마친 환자는 현재 일상생활을 영위 중이며 정기적으로 내원해 김도영 교수로부터 추적 관찰을 받을 예정이다.
김만득 교수는 “세브란스병원은 IRE 도입 이후 현재까지 췌장암 환자 40여 명을 치료했다”며 “이번에 간암 환자에서도 시행한 만큼 앞으로 대상 암종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의학바이오게시판] 아주대병원, 신관·첨단의학관 건립 착수 外
■ 아주대병원은 본관과 송재관(의대) 사이에 신관 및 첨단의학관을 2029년까지 순차적으로 완공하기 위해 건립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신관은 지하 3층에서 지하 15층, 연면적 5만6120㎡ 규모로 275병상이 운영될 예정이다. 2029년이면 아주대병원은 경기도 내 단일병원으로는 최대 규모인 1465병상을 갖추게 된다. 첨단의학관은 지하 1층에서 지상 10층, 연면적 1만5270㎡ 규모의 연구공간이다. 교육·연구시설을 확충해 연구중심병원의 위상을 강화하고 의대 정원 증원 등에 대비한다는 목표다. ■ 세브란스병원은 이승규·김용준 안과...
-
미세먼지 심할 땐 노인 '야외운동' 금지?…“저농도일 땐 수명 연장에 도움”
같은 미세먼지 농도에서도 운동 강도에 따라 사망 위험도가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농도 미세먼지 환경에서 노인이 중등도, 고강도 운동을 하는 것은 수명 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은 심장내과 정보영 교수와 양필성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메이요클리닉 프로시딩’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노인을 비롯해 일반인이 건강을 위해 즐기는 운동은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중등도 운동과 격렬한 달리기 등 숨이 헐떡일...
-
누에 단백질, 인공 심장 판막 내구성 높인다
국내 연구진이 누에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세브란스병원은 정세용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내는 ‘천연 단백질 실크 피브로인’을 심장판막질환 환자를 위한 인공 판막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심장의 4개의 판막은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한다. 퇴행성 변화나 선천...
- 문세영 기자moon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