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창조주 하나님의 사회: 이런 일이?

다르게 보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heojohn 2021. 6. 10. 05:21

 

[2020 우수과학도서]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

2021.05.11 09:00 김지혜 객원기자

  • 우리는 실재를 보지 못한다. 그것은 “우리 뇌가 그렇게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우리 뇌의 지각 모형은 생존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게티이미지
  •  
  • ‘이 세상에 많은 것들을 다르게 보는 순간,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인다. 우리의 뇌가 새로운 생각을 하고, 우리의 생각, 지각,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지적 안내서를 만나보자.
  •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라는 세계적인 신경과학자 보 로토의 대중적인 과학교양 도서다. 저자는 20년 이상 진행한 선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 뇌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왜 실재를 보지 못하는지, 우리가 지각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등을 실험적인 방식으로 설명한다.
  • 저자에 따르면, 다음번의 가장 큰 혁신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보는 방법’이다. 그리고 보는 방법으로 ‘다르게 보기’, 즉 지각 방식의 ‘일탈’을 제안한다. 말하자면 이 책은 지각의 작용 방식 뒤에 숨어 있는 과학을 명쾌하게 설명함으로써, 세계를 보는 방법에 대한 긴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창조적인 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생각, 지각,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지적 안내서. 책 곳곳에 배치된 감각적인 일러스트와 착시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한다.
  •  
  • “보는 방식을 바꾸면 모든 것이 바뀐다.
  • 저자에 따르면, 우리는 실재를 보지 못한다. 그것은 “우리 뇌가 그렇게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우리 뇌의 지각 모형은 생존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우리는 실재를 정확하게 본다고 느끼지만, 그것은 우리만의 인상일 뿐, 우리는 결코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 수많은 착시 사례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더욱이 저자는, 시각 말고도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모든 감각에서도 착각이 일어난다고 덧붙인다. 어쩌면 이 시점에서 혹자는 이런 질문을 던질 수도 있다. ‘우리가 실재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고 해서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왜 굳이, 기어, 다르게 보아야 하는가?’
  •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의 감각이 과거의 지각에 의존한다면, 과연 우리는 어떤 방법을 통해 다르게 볼 수 있을까? 그게 가능하기는 할까? 저자는 이렇게 얘기한다. “우리의 과거를 바꾸면 우리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 이것은 무슨 말일까? 저자에 의하면, 이것은 전적으로 가능한 일이고, 우리가 항상 하는 일이다. 바로, 과거의 경험에 ‘의미를 재부여’하는 일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이야기와 모든 책과 같이, 말하고 읽고 실행하는 모든 내러티브는 바로 과거를 바꾸는 일 중 하나다. 그리고 우리는 이렇게 새로운 과거를 만드는 방식을 통해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뇌의 지각을 바꿀 수 있다.
  • 우리 뇌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불확실성’이다. 우리 뇌는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며, 가능한 한 모든 방법으로 이 불확실성을 피하려고 한다. 이는 ‘불확실성’이 생존에 방해가 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뇌는 미래에 살아남을 확률을 높이는 ‘유용한 해석’을 보관한다. 뇌는 유용한 지각이 어떤 것이었고, 유용하지 않은 지각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이 유용한 해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이는 단지 과거에 보기에 유용했던 것만을 본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지금 우리가 보는 것은 과거에 우리가 본 것의 역사를 나타낸다.” 우리가 과거 지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해서 지각한다는 사실은, 자동적인 반사 반응처럼 우리의 지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과거의 경험이 우리를 미묘하게 편향시킨다는 것이다.저자가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보는 것을 보는 것’, ‘지각하는 것을 지각하는 것’이다. 지각의 과정을 공략한다는 것! 우리의 지각이 우리가 지금껏 쌓아온 가정(assumption)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방법으로 말이다. 무의식적으로 쌓아온 가정들을, 의식적으로 발견하고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저자는 “의심하는 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강한 행동이다. 용기를 가지고 의심하면, 뇌는 이 과정이 여는 새 지각을 통해 우리에게 보상 한다… 우리 뇌는 이 방법을 통해 자신을 구속하는 가정들을 떨쳐낼 수 있고, 과거가 우리 뇌에 보도록 훈련시킨 유용성에서 벗어나 세계를 바라볼 수 있다”라고 언급한다.
  •  
  • .
  • ⓒ해나무
  • 창조적 능력을 높이는, 뇌와 지각을 위한 확실한 조언
  •  
  • 뇌는 매순간 조금씩 바뀐다. 중간을 거치지 않고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도약하듯 순간이동을 할 수가 없다. 우리가 가진 가정들도 매번 조금씩 바뀐다. 그러면 뇌의 변화를 결정짓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현시점의 가정들이다. 현시점의 가정들이 다음번의 가능한 지각을 결정짓는다. 그래서 본인이 세계를 지금 어떻게 지각하는지, 어떤 관념을 가졌는지에 따라, 취할 수 있는 행동과 취할 수 없는 행동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어떤 행동이 가능한지는 어떤 가정들을 축적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이처럼 이 책은 지각신경과학을 토대로, 말 그대로 모든 것을 착각하는 우리의 지각을 ‘자각’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거듭 강조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각의 혁신을 바란다면, 과거의 경험에 의미를 재부여함으로써 과거의 의미들을 바꾸고, 이를 통해 미래의 ‘반사 반응’을 변화시키라고 제안한다. 그러면 우리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각뿐 아니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이다.
  • 창의성이라는 것이 ‘서로 거리가 먼 두 개념을 연결하는 능력’이라고 한다면, 그러면 ‘도약’ 없이 어떻게 창의성이라는 게 가능해지는 것일까? 이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단지 현 상태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다음 상태로 살짝 이동했을 뿐이라고.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도약’처럼 보일 테지만 말이다. ‘창의성’이라고 하는 것은 순전히 제3자의 관점일 뿐이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가능한 일을 했을 뿐이다. 창의성은 그들이 무의식적으로 설정해온 가정들을 자각하고, 그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정을 통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 이 책을 펼쳐보면, 무척 흥미롭게도, 중간에 작은 그림들이 글자를 타고 넘어가고, 글자가 반대로 씌어 있는가 하면, 심지어 페이지가 뒤집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모든 실험적 요소는, 관성적인 책 읽기를 멈추도록 인도한다. 뒤집어보고 다르게 보고 삐딱하게 보도록 한다. 궤도를 이탈하게 만드는 책 읽기를 의도적으로 유도하는데, 이는 끊임없이 ‘다르게 보기’를 시도하라는 이 책의 주제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  
  •  김지혜 객원기자  xxxxxxx777@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