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비번역 DNA 비밀 푼다'

heojohn 2020. 9. 13. 23:43

[표지로 읽는 과학]

2020.08.01 00:00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형형색색을 가진 실타래의 모습을 30일 표지로 실었다. 빨간색부터 주황색, 초록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깔들의 꼬불한 실이 꼬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슷한 색깔의 실이 모여 있는 듯 하다가도 그렇지 않은 것처럼도 보인다. 이 실들의 정체는 DNA다. DNA는 모든 유기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실 모양의 물질이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도 D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한다.


과학자들은 2003년부터 유전자의 발현과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DNA의 상호작용을 밝히기 위해 ‘엔코드: DNA 원소 백과사전’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미국 국립 인간게놈연구소의 지원 하에 전 세계 32개 연구팀, 442명의 과학자들이 참가하고 있다.


2007년 프로젝트의 1단계 연구결과가 나왔다. 1단계 연구는 일종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인간 게놈(유전체)의 약 1%를 대상으로 ‘전사 인자’와 ‘특정 히스톤 변형’, ‘열린 염색질 구조’와 관련된 영역을 분석하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전사 인자는 DNA의 특정서열에 결합해 전사 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염색질은 세포핵 속에 존재하는 염기성 색소에 잘 염색이 되는 물질로 열린 염색질 구조는 DNAD와 히스톤 단백질의 결합이 느슨해진 구조를 뜻한다. 히스톤 변형은 염색질 주요 단백질 구성성분인 히스톤이 변형되는 것을 뜻한다.


2단계 연구결과는 지난 2012년 발표됐다. ‘비번역 DNA’가 실제로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아주 중요한 인자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비번역 DNA는 어떤 정보도 생산하지 쓸모없는 DNA라는 뜻이다. DNA의 염기가 30억 쌍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 중 세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정보를 마음 염기가 5~10% 불과해 이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2단계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크 DNA들이 대부분 다 쓸모가 있다고 밝혀졌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수많은 기능 부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올해 3단계 프로젝트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번주 네이처에 이와 관련된 논문이 온라인으로 발표된 것을 포함해 9개가 나왔다. 몇몇 다른 연구들은 다른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인간과 쥐 세포주 및 조직에서 수행된 다양한 분석법에 대한 설명이 기술돼 있다. ‘CREs(Cis-Regulatory Element)’와 관련된 DNA 영역에 대한 연구결과가 주로 발표됐다. CREs는 주변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비번역 DNA 영역을 뜻한다.


요셉 에커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쥐의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의 CREs를 관찰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우터 뮬레만 미국 알티우스생명의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인간 세포와 조직에서 나타나는 CREs와 전사의 변형을 지도로 그렸다. 이외에도 마이클 슈나이더 미국 스탠포드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인간 세포의 염색질을 분석한 결과를, 에릭 멘덴홀 미국 알라바마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인간 간 세포주에서 활성화된 염색질 관련 단백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네이처는 “연구 논문들은 비번역 DNA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어떻게 비번역 DNA들이 조절되고있는 지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줬다”며 “게놈과 핵의 요소 및 구성, 새로운 분석기구들도 등장했다”고 평가했다.

관련 태그 뉴스

  • [표지로 읽는 과학]사람 장기마다 발현하는 유전자 다르다

    [표지로 읽는 과학]사람 장기마다 발현하는 유전자 다르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1일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는 4개의 그래픽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사람 몸의 형상 속에서 네모난 타일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타일들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히트맵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유전자 발현이 많이 일어날수록 짙은 색깔을 띤다. 유전자 발현은 DNA 유전 정보를 이용해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자 발현 정보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지난 2010년 시작한 프로젝트인 ‘GTEx(notype-Tissue Expression)’에서 얻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장기별로 유전자의 발...

  • [표지로 읽는 과학]엄청난 돈 들이는 선거 전 캠페인, 그만큼 가치 있을까

    [표지로 읽는 과학]엄청난 돈 들이는 선거 전 캠페인, 그만큼 가치 있을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지구 위에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는 투표함의 모습을 이번주 표지에 실었다. 투표는 민주주의를 상징한다. 사이언스는 이달 4일 ‘불확실한 상태의 민주주의’라는 주제라는 특집호에서 전 세계 민주주의의 현주소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루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은 세 편의 기사와 민주주의 연구들에 관해 정리한 네 편의 리뷰 논문을 실었다. 데이비드 니커슨 미국 템플대 정치과학부 교수와 토드 로저스 하버드대 공공정책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번 특집호에 ‘캠페인이 선거 결과에 생각보...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동박새가 칠레 대황에 앉아 있는 모습을 이번 주 표지에 실었다. 이 동박새는 칠레 대황의 열매를 먹고 씨를 다른 곳에 전파한다. 특이한 점은 동박새와 대황 모두 뉴질랜드에 없던 종이라는 사실이다. 일종의 외래종이다. 국제 교역이 늘고 교통수단에 의한 사람들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기존 생태계에 없던 새로운 종이 유입돼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은 사례에 속한다. 이번주 네이처는 이렇게 외래종 유입에 따라 기존 생태계 없던 새로운 생태 질서가 확립되고 그에 따라 지역의 종 다양...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7일 알록달록한 도마뱀처럼 보이는 그림을 표지로 실었다. 이 그림의 정체는 포유류의 젖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유선’이다.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상피세포 집단인 선조직에 속한다. 전립선도 대표적인 선 조직이다. 이런 선 조직의 상피는 여러 세포가 층을 쌓은 형태를 가진다. 표지 속에서 붉게 보이는 게 ‘기저세포’, 초록색이 ‘관강세포’다. 기저세포는 전립선 세관의 바깥층을 구성하는 세포이다. 관강세포는 가는 관으로 이루어진 전립선의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로 전립선의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