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heojohn 2021. 2. 25. 12:20

2021.02.24 12:00

 

핵융합연구원, KSTAR 이용해 플라스마 난류와 자기섬 상관 관계 실험으로 첫 확인

초고온 플라스마에서 발생하는 난류와 플라스마를 가둔 자기력선을 붕괴시키는 자기섬 사이의 상호 작용이 실험으로 처음 확인됐다. 분홍색 점선이 자기섬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형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핵융합 플라스마의 오랜 난제가 처음 풀렸다. 이를 이용하면 KSTAR에서 1억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20초 이상 발생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1억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가 필요하고, 이런 플라스마가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한다. 플라스마 내부에서 온도와 밀도가 주변과 조금이라도 다른 부분이 생기면 작은 요동이 일어나고 이는 불안정한 상태의 난류로 발전한다. 비행 중 기체를 때리는 난류와 비슷하다.


또 플라스마를 가둬 놓은 자기력선이 찢어지거나 재결합해 자기장이 섬 모양으로 형성되는 '자기섬(magnetic island)'이 생기면 플라스마가 붕괴할 수 있다.

 

그간 학계에서는 자기섬에 의한 플라스마 붕괴에 난류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해왔지만 진단장치의 한계 때문에 실제로 이를 관측하지는 못했다.


최민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임연구원 등 국제공동연구진은 KSTAR의 전자온도영상진단장치를 이용해 자기섬 주변에서 형성되는 플라스마 난류의 세기 분포를 2차원으로 정밀하게 측정했다. 그 결과 난류의 세기가 증가하면 플라스마가 급격히 붕괴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자기섬이 5~6cm 수준에서는 플라스마가 붕괴하더라도 약한 수준인데, 20cm까지 자라면 플라스마가 완전히 붕괴한다”고 설명했다.


KSTAR는 지난해 11월 1억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20초 이상 연속으로 발생시키는 데 성공한 뒤 현재 30초를 목표로 운전 시간을 늘리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300초 운전에 성공해 핵융합발전 가능성을 입증할 예정이다.


최 선임연구원은 “KSTAR가 장시간 운전하기 위해서는 플라스마 난류와 자기섬 등 플라스마의 움직임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을 조절해야 한다”며 “난류를 제어해 자기섬에 의해 플라스마가 붕괴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14일자에 실렸다.

관련 태그 뉴스

  •  

    한국형 인공태양 1억도서 20초간 플라스마 발생…세계 최초 세계 최장 기록

    한국형 인공태양 1억도서 20초간 플라스마 발생…세계 최초 세계 최장 기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20초 이상 연속으로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정도의 높은 온도의 플라스마를 이렇게 길게 유지한 건 세계에서 처음이다. KSTAR는 지난해 1억 도에서 8초 운전으로 세계 기록을 세운 뒤 이번에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20초 짧아보여도 1950년대 이후 첫 기록 KSTAR는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지상에서 구현하기 위해 만든 실험로다. 태양에서는 가벼운 원자핵(중수소, 삼중수소)이 ...

  •  

    핵융합 플라스마 난류 관측 기술 개발한 박현거 UNIST 교수 '찬드라세카상'

    핵융합 플라스마 난류 관측 기술 개발한 박현거 UNIST 교수 '찬드라세카상'

    박현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가 플라스마 분야 3대 학술상으로 꼽히는 ‘찬드라세카상’을 수상했다. 한국인 연구자가 이 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UNIST는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 플라스마 분과가 박 교수를 2020녀 찬드라세카 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찬드라세카 상은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의 이름을 딴 상으로 2014년 제정됐다. 아태 지역의 플라스마 물리 분야를 장려하기 위한 상으로, 미국물리학회 플라스마 분과의 ‘맥스웰 상’, 유럽물리...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미래 에너지로 기대를 모으는 핵융합 에너지의 실용화를 위한 국제 실험 장치 건설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이터)’가 28일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 현장에서 착수 기념식을 갖고 본격적인 장치 조립을 시작했다. 핵융합은 바다에 풍부한 수소 등 가벼운 원소를 고온 환경에서 융합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기술로, 자원이 풍부하고 위험한 부산물을 적게 생산하는 차세대 에너지 후보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ITER는 이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거대한 실험장치를 통해 직접 실증하기 위한 장기 프로젝트다. 조립이 순조롭...

  •  

    KSTAR, 플라스마 1억도 8초간 유지 성공…세계 최장 시간

    KSTAR, 플라스마 1억도 8초간 유지 성공…세계 최장 시간

    ‘미래 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핵융합 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국내 연구기관의 실험장치가 태양 중심부 온도의 6배가 넘는 1억 도의 온도로 세계 최장시간 작동하는 데 성공했다. 핵융합 에너지 생산을 위해서는 1억 도 온도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게 필수인 만큼, 세계 핵융합 개발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는 평이 나온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대전 유성구 본원에 위치한 국내 개발 핵융합 실험장치 '케이스타(KSTAR)’가 지난해 8월~올해 2월 진행한 실험에서 물질이 초고온, 초고압 환경에서 전자...

관련기사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