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쿨만 2

[소망의 이유를 묻는 자들을 위하여-종말론 입문] - 게어하르트 자우터 읽기

목 차 1. “종말론”, 개념과 그 변천 1.1. 종말론-다의적인 개념 1.2. “종말론” 개념의 전형적인 사용방식 1.3. 긴장상황들과 논점들 2. 나사렛 예수: “소망을 짊어지신 분” 2.1. “하나님 날”-먼 곳으로부터의 조망 2.2.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의 예고는 단순한 번개일 뿐인가? 2.3. 예수의 소망 가운데 무엇이 아직 더 남아 있는가? 2.4.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 2.5. 예수 그리스도: 마지막이요 장차 오실 분 3. 인간과 그의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행위 3.1. 신학의 경계설정으로서의 종말론 3.2. 기독교 실존의 종말론적인 정립 3.3. 소망의 어둠속에서 3.4. 새로운 존재는 역사 속에서 빛을 발한다 3.5. 근본적인 종말론-새로운 지평을 갖는 신학 4. 소망의 하나님-미래의..

20세기 서구 기독교의 종말론

1. 개관 19세기에 서구는 기독교 시대였다. 19세기 말에는 기독교적 세계가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관철되는 것처럼 보였다.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였고, 인도가 영국에게 점령당하였으며, 일본과 한국이 유럽에게 자신을 개방하였다. 중국은 서구 기독교인에게는 마지막 선교의 장으로 여겨졌다. 이런 상황에 도취된 서구 기독교인들이 천년왕국설을 세계사적 해석의 틀로 여긴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그들은 모두 천년왕국설에 도취되어 있었다. 미국에서는 “새로운 세계”라는 아메리카의 꿈이 수백만 명을 끌어들였으며, 그것은 차르 황제가 다스리던 러시아에서 종말적 세계구원의 러시아적 꿈으로 나타났다. 콘스탄틴이 멸망한 다음 모스크바가 기독교적-정교회적 제국의 지배를 인수하였다는 “러시아적 사상”을 형성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