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하신 대로 사는 생활 지식/모든 생물을 다스리는 지식

“코로나19로 저밀도 사회 주목…체계적 ‘농촌재생’ 필요”

heojohn 2021. 1. 23. 16:50

[농업전망]

입력 : 2021-01-22 00:00 수정 : 2021-01-22 23:3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란 주제로 ‘농업전망 2021 발표대회’를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개최했다. 사진제공=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방안

전국 귀농·귀촌인 늘지만 의료 등 생활편의시설 부족

무분별한 개발행위도 여전

농촌에 지속 거주 가능하게 지역 공간계획 제도화해야

 

#전남 강진군 옴천초등학교는 2016년 ‘옴냇골 산촌유학센터’를 통해 전국 최초로 산촌유학을 추진하면서 활기를 되찾았다. 2013년 학생수가 15명으로 줄면서 겪었던 폐교 위기에서도 자연스레 벗어났다. 도시민이 농촌에 거주하지 않고도 농촌과 특별한 ‘관계’를 형성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은 사례다.

#경북 의성군은 청년들이 지역으로 모여들 수 있도록 빈집과 주인 없는 상점을 리모델링해 임시 주거공간으로 제공한다. 지역에 들어온 청년가구가 임신과 출산·보육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역에 소아청소년과 병원을 개설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을 조성하는 등 생활여건 개선사업도 함께 펼치고 있다.


농촌의 지역 활성화를 위해 시도되는 이러한 사례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목하는 ‘농촌재생’의 미래와 맞닿아 있다. 농경연은 20일 ‘농업전망 2021’에서 농촌재생을 통해 그동안 낙후되고 뒤처진 공간으로 여겨진 농촌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농촌재생은 농촌이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지닌 공간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최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 도시를 떠나는 사람이 늘면서 농촌이 변화의 전기를 맞고 있다는 게 농경연의 분석이다. 실제로 농촌인구는 1970년대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2015년부터 귀농·귀촌인 유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과거엔 주로 대도시 근교 농촌에만 나타났다면 최근엔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농경연은 이러한 인구 변화 추세가 지속된다고 전제했을 때 농촌인구는 2015년 936만명에서 2040년 1015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대도시 중심의 고밀도 주거문화에서 벗어나 저밀도 주거형태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농촌지역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지만 개선해야 할 문제도 산적해 있다. 의료서비스나 문화여가시설 등 필수적인 생활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 농촌환경을 해치는 무분별한 개발행위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어서다. 코로나19 확산은 농촌의 잠재력을 높였지만 교육과 보건·복지 분야에서 농촌의 취약성을 노출시키기도 했다. 농촌재생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농촌정책과의 차별화를 내세운다.

농촌재생은 농촌에 거주하는 주민만이 아니라 농촌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도시민까지 농촌 활성화를 추진할 수 있는 대상으로 삼는다.

성주인 농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농촌은 대안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곳으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농촌으로 거주지를 옮기지 않더라도 자신이 희망하는 일들을 농촌에서 실행하려는 의향을 지닌 도시민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농촌재생은 또 농촌공간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농촌공간계획’을 제도화한다는 목표를 내건다. 농촌이 국민 모두가 지속적으로 거주하기 원하는 장소가 되려면 지역 전체를 고려하지 않은 채 개별 단위사업으로 농촌을 개발했던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 계획에 따르면 농촌 주거환경을 훼손하기 쉬운 축사나 태양광시설·공장 등은 마을에 새로 단지나 지구를 만든 후 이곳에 밀집시킨다. 농촌지역의 중심에는 보건의료·교육·문화 등 필수 생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거점시설을 마련해 주민 편의를 높이도록 했다.

오은정 기자 onjung@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