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

남녀 성비 1:1 유지되는 이유 찾았다

heojohn 2021. 6. 12. 23:55

2021.06.10 14:06

 

GIST 생명과학부 조정희 교수·홍성현 박사과정 연구원…Y염색체 조절해 성비 균형 맞추는 RNA 발견

 정상 생쥐의 정자(왼쪽)와 테쉴이 결핍된 생쥐의 정자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테쉴이 결핍된 생쥐의 정자 머리가 비정상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조정희, 홍성현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남성의 정자를 만드는 기관인 정소에서만 생성되는 RNA가 출생 성비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조정희 교수와 홍성현 박사과정 연구원이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9일자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수정 시 성비는 수컷이 암컷보다 많다. 하지만 배아의 유산율과 출산 후 사망률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아 결국 수컷과 암컷의 성비는 1 대 1에 가깝게 유지된다. 과학자들은 이런 성비 균형 메커니즘을 생명체 유지의 핵심 기능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 수컷의 정소에서 정자 발생에 관여하는 약 1000개의 유전자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뤄졌다. 하지만 RNA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 최근 정소에 존재하는 긴 비암호화 RNA가 정자 발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었다. 긴 비암호화 RNA는 염기가 200개 이상 연결돼 길이가 길면서도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RNA를 말한다.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해 정소에서만 특이하게 나타나는 긴 비암호화 RNA 26개를 발견했고, 그중 테쉴(Teshl)에 주목했다. 테쉴은 감수분열을 거친 뒤 세포핵에서만 확인됐다. 


연구진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캐스9으로 테쉴이 발현되지 않도록 유전자를 편집한 수컷 생쥐에서 정자를 조사했다. 테쉴 발현이 억제된 수컷 생쥐의 정자는 머리 형태가 비정상적이었다. 또 이 수컷 생쥐를 암컷 생쥐와 교배해 태어난 새끼의 암수 비율은 1 대 0.614로 수컷이 현저히 적었다. 


연구진은 정상 생쥐와 테쉴이 결핍된 생쥐의 유전자를 해독해 비교한 결과 테쉴이 없는 경우 X염색에의 존재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하고 Y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테쉴이 Y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성비 균형에 관여한다는 뜻이다. 


조 교수는 “긴 비암호화 RNA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조직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만큼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나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  

GIST 발전재단·총동문회 “학교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  

GIST 발전재단·총동문회 “학교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광주과학기술원(GIST) 발전재단과 GIST 기술경영아카데미 총동문회, GIST 총동문회가 학교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단체는 11일 ‘광주과학기술원의 정상화를 바라며’라는 공동 성명서를 내고 “학교가 하루빨리 정상화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GIST는 올해 3월 김기선 총장이 재임 중 연구 수당 수임 등 논란에 휩싸여 사임 의사를 표명했고, 이사회가 김 총장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지만 이후 김 총장이 이사회에서 사의를 표명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법적 다툼이 시작됐다. 김 총장이 이...

    •  
    •  

[과기원은 지금] GIST, 투명망토처럼 물체를 빛으로부터 감추는 물질 개발

    •  

[과기원은 지금] GIST, 투명망토처럼 물체를 빛으로부터 감추는 물질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철식 고등광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 연구팀이 투명망토처럼 빛으로부터 물체를 감추거나 입사하는 빛의 위상정보를 완전히 제거해 복원할 수 없도록 하는 ‘광디렉분산물질’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광디렉분산물질이란 전자의 에너지와 파장의 관계가 원뿔 2개로 이뤄진 모래시계 구조의 물질로 대표적인 물질이 그래핀이다. 연구팀은 굴절률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구조물인 ‘광결정’을 활용해 광디렉분산 특성을 갖는 이론적 방법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  
    •  

김기선 GIST총장 총장직 복귀

    •  

김기선 GIST총장 총장직 복귀

법원이 ‘이사회 사의수용 결정에 대한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김 총장은 지난 3월 30일 총장직을 떠난 지 70일 만에 복귀했다. 광주지법 민사21부(심재현 부장판사)는 지난 7일 김 총장이 GIST를 상대로 제기한 효력정지∙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고 8일 밝혔다. 김 총장은 재임 중 연구 수당 수임 등 논란에 휩싸여 지난 3월 18일 GIST 보도자료를 통해 사임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후 같은 달 30일 GIST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서 총장의 사의를 수...

    •  
    •  

[과기원은 지금] 손목시계 돌리는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개발 外

    •  

[과기원은 지금] 손목시계 돌리는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개발 外

■ 김회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금속유기골격체(MOF)를 넣은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가방이나 신발같은 사물이나 신체 부위에 고정해 움직임이 발생할 때 나오는 마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계산기나 손목시계같은 작은 전자기기를 작동시킬 정도다. 골격체 내부에 다양한 화학물질을 탑재할 수 있는 능력도 갖췄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4월 19일 발표됐다. ■ 나명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교수와 백승빈 연구교수, ...

  •  
  •  

관련기사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