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의 유전법칙 5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사이언스N사피엔스] 2020.11.26 15:06 종의 기원. 1859년 11월 출간돼 인류의 세계관을 뿌리째 흔들어놓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오클랜드박물관 제공 1859년에 출간된 다윈의 《종의 기원》은 생물학 분야는 물론 과학 전체를 통틀어 보더라도 19세기 과학의 가장 위대한 성취라 평가할 만하다. 생물종이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다윈의 진화론은 인간의 기원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인간이 '절대적 존재(The One)'의 지위에서 ‘그들 중 하나(One of Them)’의 지위로 내려온 것은 다윈 덕분이다. 다윈의 이론에서 진화가 일어나려면 꼭 필요한 요소가 바로 유전이다. 즉, 대물림되는 어떤 형질의 변화가 일단 있어야 한다.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이 올바른 진화이론으로 살아남지 ..

과학적 무신론 비판(3): 종의 기원

찰스 다윈은 하나님이 지구 생물을 종류별로 창조하셨다는 사실을 생물학적으로 부정한 최초의 인물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1859)에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는 ‘창조자’(Creator)에 의하여 ‘몇 개 또는 한 개’ 만들어졌고, 그것이 번식하면서 자연선택의 방법으로 인간으로까지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보다 조금 늦게 그레고어 멘델은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1866) 논문을 발표하여 생물에게 나타나는 변이는 유전자의 법칙에 의한 것이라 주장했다. 멘델의 주장은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무작위적인 변이를 명백히 반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을 학습한 역사적 유물론자들은 생명을 물질적 현상으로 보면서 창조자까지 부정했다. 그 결과 오파린은 생명이 물질에서 발생했다는 화학적 진화론을 주장할 수 있..

생명의 진화 불가능성에 대한 소고 Approach to the Origin of Life in Physical Viewing

Ⅰ. 들어가며 Ⅱ. 최초의 생물: 한 개의 세포로 시작되었다. Ⅲ. 원핵세포의 구조 Ⅳ. 생명에 대한 창조론과 진화론, 그리고 지적 설계론의 논쟁 Ⅴ. 세포와 생명의 발생 Ⅵ. 생명의 기원에 대한 진화론의 불가능성 Ⅶ. 나가며 Ⅰ. 들어가며 생명을 가장 단순하게 정의한다면, 생물의 살아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생물은 생명을 가진 물체이다. 지구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을 지세히 보면, 종류별로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치고 있다. 그러나 지구에는 처음에 물질만 있었고, 생물이 없었던 때가 있었다. 그렇다면 생물에 대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은 처음에 ‘생물이 물질에서 어떻게 생겨났는가?’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크게 창조론과 진화론이라는 두 가지의 관점에서 나온다. 두 관점은 처음부터 정반대의..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한 초기 논쟁들

(1) 초기 지지자들 당시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사조는 자연에도 하나님의 섭리로서 진보를 향하는 목적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다윈의 진화론을 이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열렬한 신자인 그의 아내 엠마(Emma) 덕분에 최소한 목적론자로는 인정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다윈의 주장이 창세기의 창조기사와 다른 것이 문제되었을 뿐이다. 다윈은 다만 하나님의 유형별 창조를 과학적으로 의심하는 사람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경향에는 그의 『종의 기원』의 마지막 구절에 쓰인 “창조자”(the Creator)라는 말도 효과적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다윈은 그의 『종의 기원』 마지막 구절에서 “생명은 그 몇 가지 능..

하나님은 우주만물을 ‘어떻게’ 창조하셨을까?(7)

5.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쟁(2): 진화론의 불가능성에 대한 고찰 (1)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멘델의 유전법칙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찰스 다윈은 진화의 원인이 자연선택에 의한 후천형질의 유전에 있다고 주장했다. 『종의 기원』 초판을 읽은 유물론자 엥겔스는 동료 마르크스에게도 즉시 읽어보라고 권유했다. 마르크스는 그 책을 읽고 그가 쓰고 있던 『자본론Ⅰ』에 다윈의 진화론을 인용했고, 『자본론Ⅰ』이 출판되자 즉각 다윈에게 찬사의 편지와 함께 한 권을 헌정했다. 그 무렵에 오스트리아에서 로마가톨릭교회 사제였던 그레고르 멘델(Gregor Mendel)은 완두콩 교배 실험에서 유전법칙을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유전법칙은 1865년과 1866년에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