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뢰딩거 4

『생명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물질』: 슈뢰딩거의 세계 이해

양자이론의 불확정성 원리에서 나타난 것처럼, 인간의 불완전한 인식 능력은 하나의 실재를 관 측하면서도 제각기 달리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슈뢰딩거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파동 방정식을 발견하여 양자이론의 기둥뿌리를 세웠 다. 슈뢰딩거는 아인슈타인과 함께 코펜하겐 해석에 반론을 제기했 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그는 물리학에 한계를 느끼고 생물 학 쪽으로 연구 방향을 돌렸다. 1944년에 출판된 『생명이란 무엇인 가』는 그런 노력의 1차적 결과물이었고, 1958년 출간된 『정신과 물질』 은 2차적 결과물이었다. 이후에 자필 수기를 덧붙여 이것들은 하나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양자이론의 불완전성을 비판하던 슈뢰딩거는 대 부분의 양자물리학자들처럼 죽을 때까지 과학적 무신론을 극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죽..

양자물리학 알기(4): EPR 논쟁과 고양이 상자

1935년에 아인슈타인은 그의 조수 네이선 로젠(Nathan Rosen), 보 리스 포돌스키(Boris podolsky)와 공동으로 ‘EPR 역설’(EPR paradox)로 불리는 유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의 원제목은 “Can Quantum-Mechanical Description of Physical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 물리적 실재에 대한 양자역학의 기술 은 완전하다고 볼 수 있는가?”이다. 아인슈타인에게 코펜하겐 해석은 물리이론이 아니라, ‘멀리 있는 도깨비가 조종’(spooky action at a distance)을 하고 있는 것처럼 허튼 소리로 들렸다. EPR은 세 명의 공동저자 이름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젠 베르크의 불확..

오파린의 화학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

오파린의 이론이 사실로 입증되었다면, 공산주의자들은 과학적 무신론의 승리와 함께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이후 아직까지 그런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과학적 무신론의 존립 근거지인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하는 사태가 일어났을 뿐이다. 이와 같이 오파린의 이론의 대략적인 개념은 자연에서 무기물이 무기화합물이 되고, 이것이 다시 유기화합물로 변화되고, 이것들 가운데서 단백질 덩어리가 어느 순간에 원시 생명체로 “변증법적 비약”을 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진화를 해서 오늘날과 같은 생물계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제 오파린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유레이와 밀러의 유기물 생성 실험에 대한 비판 서방에서 오파린의 유기물 생성 이론에 대한 실험으로서는 앞에서 말한..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에 대한 실험과 평가

1. 오파린의 화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중요한 실험이나 저작 ① 1953년 시카고 대학원에서 유레이(Harold C. Urey, 1893-1981) 교수는 오파린의 『생명의 기원』 가설을 설명하고 이를 검증하는 실험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박사과정 학생인 밀러(Stanley L. Miller, 1930-2007)는 산소가 없는 환원성 대기를 가정하고, 수소, 메탄, 암모니아와 수증기를 혼합한 무기화합물을 고압전기를 방전하는 장치에 넣고 6일간 가열하다가 급냉시켰다. 여기서 그는 아미노산을 얻었는데, 이는 아미노산이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점차 더 복잡한 유기화합물인 단백질로 변화했을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이 실험은 유레이-밀러 실험으로 유명해졌며, 마치 오파린의 가설이 사실로 입증된 것처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