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 제2법칙 5

자신의 엔트로피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생명체… 우주의 섭리 反하는 존재인가

슬기로운 문화생활 2020.10.08. 11:007,988 읽음 비밀글 ③ 어디서부터 물질이고 어디서부터 생명일까? : 생화학으로 본 생명 생체내 단백질, 물리적 특성 바뀌며 특정 기능 수행하는 구조물 만들어 이런 기묘한 현상이 생명 창조의 핵심 메커니즘일지도 몰라 생명체는 외부 변화나 자극에 반응하고 호흡으로 에너지 생산해 자신 유지 동일 개체 재생산하는 생식 하지만… 생명 없어지는 순간 무정하게 분해 일러스트 = 이미영 작가 생명 창조는 이미 신의 전유물이 아니다. 벌써 10년 전 인류는 합성 생물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2010년 크레이그 벤터 연구팀은 ‘화학적 합성 유전체에 의해 제어되는 세균 세포의 창조’라는 제목의 논문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논문에 소개된 연구는 아주 단순한 세균의 유전..

과학의 힘으로 영생을 얻을 수 있을까?(3)

과학적 무신론자들은 물질에서 생명을 만들어내는 실험에 계속 실패하면서도 생명이 물질에서 생겨났다는 주장을 멈추지 않고 있다. 그들의 주장대로 생명이 물질에서 생겨난 것이라면, 생명체는 분해와 조립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생명체를 물리적으로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실험에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 그런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물질적인 방법으로 생명을 연장하거나, 영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학이 물질적으로 영생의 방법을 찾는 실험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현대과학은 생명체의 정보인 DNA 구조를 분석해서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그리고 각 부분의 디지털 정보를 이용해서 생명체의 부품들을 인공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렇게 만..

과학적 유신론의 '쟁점들'에 대한 답안-2(생명의 최초 원인)

생명체의 최초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가? 이 질문은 과학적 유신론의 두번 째 답안을 작성하게 한다. 과학적 무신론은 최초의 생명체가 지구에서 화학작용 또는 ‘변증 법적 비약’에 의해서 유기물이 합성된 단세포 생물이라고 본다. 고대 자연발생론에 다름 아닌 이런 주장에 반대하여, 과학적 유신론은 최 초의 생명체가 우주 에너지 총량 안에 존재하는 지적 생명체이며 창 조의 신이라고 본다. 노자의 이해에 의하면 최초의 생명체는 유(有)에 존재하는 만물의 어머니이다. 신의 존재가 어떻게 시작되었느냐 하 는 문제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 과학적 유신론은 존재의 최고법칙인 대칭성 법칙에 의하여 최초의 자연인 유무에 변화의 최초 원인으로 신이 존재하게 되었다고 대답한다. 왜냐하면 새로운 존재 를..

과학적 유신론 서론

앞에서 우리는 ‘과학적 무신론’이 나오게 된 과정과 주장하는 내용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잘못된 이론이라는 사실을 밝 혀냈다. 이제 인간사회를 동물사회로 격하시키는 과학적 무신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학적 무신론이 인간사회에 미치는 문제점 을 제기하고, 그 다음에 과학적 유신론의 첫 단계로 과학적 자연이해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논의하겠다. 그리고 과학적 자연 이해 패 러다임 전환의 열쇄는 최초의 자연에 이미 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갈 파한 노자의 도(道) 사상에 있다는 사실을 밝히겠다. 그 다음에 과학 적 유신론의 명제인 신의 존재에 관련한 과학적 ‘쟁점들’을 제시하고 해답을 찾기 위해 필요한 논의를 진행하겠다. 과학적 무신론의 문제점 과학의 역사를 보면 과학은 어디까지나 전체 자 연을 대..

과학적 유신론의 틀 만들기-1(고전물리학 법칙들)

우주의 창조자인 신을 믿는 유신론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것이다. 고대로부터 각 민족의 창세신화와, 각 종교의 교리가 이런 사 실을 증거한다. 과학적 유신론은 ‘보이지 않는’ 실재, 즉 신의 존재를 과학적 방법, 또는 과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과학적 유신론은 과학적 무신론에 대응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는다. 그 실 천적 방법은 ‘종교 없는 과학은 절름발이와 같고 과학 없는 종교는 장 님과 같다’는 아인슈타인의 명제를 존중한다. 과학적 유신론은 종교의 바탕인 신의 존재를 입증하지만, 어느 특정 종교의 교리를 옹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과학적 유신론은 이제까지 연구했던 것들과 이 장에서 고찰하는 것들을 바탕으로 이론의 틀을 구성하고자 한다. 과학적 유신론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창조의 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