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창조론 연구 자료실/창조론 연구를 위한 과학 뉴스 591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

2020.06.02 10:00 서식지 경쟁에서 도태돼 습지대나 암벽과 같이 척박한 환경으로 밀려난 식충식물은 나름의 독특한 생존전략을 세웠다.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질소 성분을 뿌리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곤충을 사냥해 섭취하는 전략이다. 국제 공동연구팀이 식충식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이 같은 진화의 비밀을 일부 밝혀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와 일본 국립기초생물학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파리지옥, 벌레먹이말, 좀끈끈이주걱 등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식충식물 3종의 유전체를 대표적인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유전체와 비교했다. 벌레먹이말은 전 세계에 분포하며 파리지옥은 북아메리카에, 좀끈끈이주걱은 아시아에 주로 서식한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에서는 뿌리와 관련된 유전자가 식충식물에서는 잎..

스페이스X 크루드래건 탑승 우주인, 우주정거장에 무사히 입성

2020.06.01 09:55 ISS에 도착한 크루 드래건 탑승 우주인이 기존 우주인과 만나 기념사진을 찍었다. 왼쪽부터 우주인 아나톨리 이바니신, 이반 바그너, 크리스 캐시디, 밥 벤컨, 더글러스 헐리. NASA 제공.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31일 새벽 4시 22분(한국시간) 쏘아올린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국제우주정거장(ISS)과 도킹에 성공, 크루 드래건에 탑승한 우주인 더글러스 헐리와 밥 벤컨이 ISS에 무사히 들어갔다. 더글러스 헐리와 밥 벤컨은 2011년 우주왕복선 사업이 종료된 뒤 9년만에 미국 땅에서 쏘아올린 민간 우주선을 타고 ISS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이 됐다. 크루 드래건은 31일 밤 11시경 중국 상공 422km에 떠있는 ISS와 도킹을 시작했고 지상 통제센터는 11시 30분경..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2015.04.12 18:00 가 가 The apparent antiquity of the methanogenic phenotype plus the fact that it seems well suited to the type of environment presumed to exist on earth 3~4 billion years ago lead us tentative to name this urkingdom the archaebacteria. “메탄을 생성하는 원시성과 30억~40억년 전 지구의 상태로 추측되는 환경에 적합한 것 같아 이 세균이 속하는 원계를 ‘고(古)세균’이라고 명명했다.” 2007년 탄생 300주년이었던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는 ‘현대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종속과목강문계’..

옅어진 자기장, 지구인 삶의 변화 부른다

이정호 기자 입력 2020.05.31. 21:51 댓글 184개 현재페이지 URL복사 https://news.v.daum.net/v/20200531215125520URL복사 지난해 8월 ‘스웜 위성’이 탐지한 지구 자기장의 모습. 남미와 아프리카에 걸친 대서양 주변에서 자기장이 특히 옅어졌다. 유럽우주국(ESA) 제공 지금은 불모의 행성인 화성도 한때는 표면의 20%가 바다로 덮여 있었다. 바다가 있다고 해서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체 탄생을 쉽게 만드는 중요한 조건이다. 하지만 약 40억년 전, 화성에선 바다가 완전히 말라버렸다. 비슷한 시점에 화성 주변을 감싸던 대기도 대부분 사라졌다. 어쩌면 제2의 지구가 됐을지도 모를 화성이 돌무더기만 굴러다니는 행성이 된 가..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14:00 태양계는 가장 큰 태양과 다양한 크기의 크고 작은 행성으로 구성돼 있다. NASA 과학이 충분히 발달한 지금 21세기에도 우리는 여전히 '해가 뜬다', '별이 진다'는 표현을 쓴다. 과학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말이지만 아주 오랫동안 그렇게 써 왔을 뿐더러 우리의 일상 경험과도 잘 맞기 때문이다. 과학이 태동하기 훨씬 전의 고대 사람들이 지구중심설, 즉 지구는 우주에 고정돼 있고 나머지 우주가 지구를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세계관을 받아들인 것은 너무나 당연했다. 그 옛날 플라톤은 영원불변의 별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완벽한 원운동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수제자 아리스토텔레스도 기본적으로 이 체계를 수용했다. 당대에 살았던 에우독소스는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여러 개의 동심천구를 도..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17:25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3140배 확대한 인간의 정자. 위키피디아 제공 과학의 역사에서 16세기와 17세기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를 하나 꼽으라면 광학장비를 들 수 있다. 바로 망원경과 현미경이다. 망원경은 천체와 우주 등 과학의 연구대상들 중에서 가장 큰 (그러나 아주 멀리 있는) 것들을 보는 기구이고 현미경은 미생물 등 가장 작은 대상을 보는 기구이다. 둘 다 대상을 확대해서 보여준다는 점, 한 쌍의 렌즈가 필요하다는 점은 똑같다. 따라서 렌즈를 많이 다루는 곳이 망원경이나 현미경과 인연이 높을 것이다. 하필 그곳이 네덜란드의 안경업계였다.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의 안경업자 한스 리퍼세이가 만들었다. 앞서 소개했듯이 망원경은 갈릴레오의 인생은 물론 과학의 역사를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16:56 해운대 백사장.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9세기는 과학의 역사에서 풍요와 완성의 시대였다. 아마 서구 열강에게는 모든 면에서 그랬을 듯싶다. 영국은 눈부신 빅토리아 시대를 맞아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만들었고 대륙의 프랑스는 ‘벨 에포크’의 시대를 열었다. 서구의 풍요가 식민지 개척으로 가능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슬픈 역사로 다가온다. 우리의 19세기는 1800년 정조대왕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시작해서 세도정치와 이양선과 두 번의 양요와 쇄국정책, 그리고 결국엔 망국으로 이어졌다. 이런 트라우마 때문인지 우리에겐 과학기술-산업혁명-부국강병 이렇게 연결 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한국에서 유독 ‘4차 산업혁명’에 민감한 이유도 나는 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예전 김대중 ..

[사이언스카페] 7000m 심해에 나타난 아기코끼리 '덤보'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입력 2020.05.30 09:08 | 수정 2020.05.30 09:15 코끼리 귀 닮은 지느러미 가진 '덤보 문어' 과거 기록보다 2km 더 깊은 곳에서 서식 확인 연구진 "생물 보호에 깊이 한계 두지 말아야" 7000m 깊이 바다에서 촬영된 '덤보' 문어./영 뉴캐슬대 커다란 귀로 하늘을 난 아기 코끼리 '덤보'. 1941년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오른쪽)에 처음 등장했으며 2019년 리메이크 실사 영화(왼쪽)로 재탄생했다./월트 디즈니 픽처스 아기 코끼리 ‘덤보(Dumbo)’가 7000m 깊이 바다 속에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코끼리 귀처럼 생긴 지느러미가 있는 문어를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아기 코끼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덤보라고 불렀다. 이번에 ‘덤보 문어’를 사상 최대 깊이..

우리 흙에서 고가의 항생물질 만드는 미생물 발견

최종수정 2020.05.27 07:51 기사입력 2020.05.27 07:51 1g에 9000만원 넘는 '크로모마이신 에이3' 합성 균주 찾아 수입 항생물질 국내서 대체할 기반 마련…최근 특허 출원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우리나라 토양에서 고가의 항생물질을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이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암이나 각종 종양 치료제 개발에 쓰이는 '크로모마이신 에이3(Chromomycin A3)'를 합성하는 균주를 최근 우리나라 토양에서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크로모마이신 에이3는 흙 속의 미생물에서 뽑아낸 항생물질로 1g에 약 9000만원이 넘으며, 국내에서는 생산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자생 미생물에서 크로모마이신 에이3를 합성하는 균주를 발견해 다국적기업에서 판매하고 있는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2020.05.26 04:49 핀란드의 고인류 예술가 톰 뷔요클룬트가 그린 9세 네안데르탈인 어린이의 복원도다. 네안데르탈인은 발굴과 연구가 진행될수록 현생인류와 거의 다를 바 없는 생활을 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약 4만 년 전 지구상에서 홀연히 사라졌다. 그 원인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연구단장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이들이 사라진 원인을 현생인류와의 경쟁이라고 주장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유럽과 시베리아 등에 널리 퍼져 살던 친척인류 네안데르탈인은 도구를 만들고 집단생활을 하며 장신구를 만드는 등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생활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약 4만 년 전 지금의 스페인 지역을 마지막으로 홀연히 지구상에서 자취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