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무신론 비판(진화론+유물론) 69

엥겔스의 『자연변증법』

(1) 『자연변증법』 등에서 다윈의 진화론 인용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죽은 후 출판한 『자연변증법』(1883)에서도 다윈을 인용하고 있다. 엥겔스는 특히 [주석과 단편]에서 “과학의 역사에 대하여” 논하면서, 자연과학이 18세기의 기계적 일면성을 극복하고 19세기의 경험주의 과학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음을 지적한다. 엥겔스는 자연과학 발전의 원인으로 세 가지 위대한 발견을 꼽고 있다. 첫째는 “에너지 전화” 즉 “해명되지 않은 현존재를 움직이게 하는 자연의 무수한 모든 작용원인”이 이것으로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물체의 운동이 ‘열의 일당량’에 의해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자연의 운동은 철학의 주장이 아니라 자연과학적 사실로 통일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유기세포의 발견으로 유기체의 생성, ..

엥겔스의 『반듀링론』읽기-4

(7) 엥겔스의 생명관 듀링에 대한 비판을 마친 엥겔스는 이어서 자신의 생명관에 관한 진술을 시작하겠다고 하는데, 이 부분 역시 유물론자의 생명의 기원론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뒤에 오파린이 화학적 진화론을 다룬 『생명의 기원』에서 여기에 나오는 엥겔스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여 그의 이론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엥겔스는 아직도 듀링을 비난하는 것을 멈추지 못하고 있다. 그는 먼저 “유기적인 신진대사가 생명의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특징적인 현상”이라는 것은 30년 동안이나 알려진 과학적 상식이라고 전제한다. 엥겔스는 듀링이 이것을 “형체를 형성하는 도식화에 의한 신진대사”라는 말로 바꾸어 놓았지만, 이것들은 모두 “생명을 생명이라고 정의하는 것과 똑 같다”고 주장한다...

엥겔스의 『반듀링론』읽기-3

(5) 생명의 기원 및 변화의 원리에 대하여 엥겔스는 “자연과학이 아직까지 유기물이 계통 없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시인하고, “생명의 기원에 관해서 아직까지도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것이 화학적 방법으로 출현하였을 것이라는 것뿐이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아직까지는 아무리 대담한 자연발생론자라 하더라도 다만 박테리아나 곰팡이 종류나 기타 대단히 원시적인 유기물만이 이 방법으로 창조할 수 있다고 주장했을 뿐, 곤충이나 어류나 조류나 포유동물이 창조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는 않았다”고 실토하고 있다. 이어서 듀링은 생명의 기원문제에 대해서 매우 주목을 끄는 말을 하고 있는데, “유기적인 자연산물”의 연관이 계통에 의해서 발생된 것이 아니라면, “혈통관계가 끊어진 곳에서” 별개의 ..

엥겔스의 『반듀링론』읽기-2

(3) 다윈에 대한 듀링의 비판 및 듀링에 대한 엥겔스의 비판 엥겔스는 이어서 듀링이 다음과 같이 다윈을 공격했음을 열거한다. 다윈이 맬더스의 인구론을 경제학에서 자연과학으로 이식하였다는 점, 그가 동물사육자의 관념에 사로잡혔다는 점, 그가 생존경쟁설(Kampf ums Dasein)로서 비과학적인 엉터리 글을 쓴다는 점, 그리고 또 다윈주의 전체는 라마르크에게서 차용한 것을 제외하면 인간성에 대립하는 일종의 야수성에 불과하다는 점 등 엥겔스는 다윈이 생물의 종이 변화한다는 개념을 연구여행에서 얻었고, 돌아와서는 인공배양과 자연관찰을 통해 이러한 종의 가변성을 어느 정도 확인하였다고 주장한다. 엥겔스의 이해에 의하면 생존경쟁은 생존의 싸움터에서 아무리 미미하더라도 유리한 “개체적 특질”을 가진 개체가 생존..

엥겔스의 『반듀링론』읽기-1

1) 엥겔스와 듀링의 논쟁 오이겐 듀링(Eugen Dühring, 1833-1921)은 대학교수이며 독일 사회민주당 당원으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반대파에 속해 있었다. 그런데 그가 마르크스의 『자본론 I』과 다윈의 『종의 기원』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세력을 늘려가고 있었다. 이런 사정 때문에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듀링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게 되었다. 엥겔스는 듀링을 반박하는 논문들을 쓰기 시작했고(1876-1878), 이것들을 모아서 『오이겐 듀링씨의 과학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했다(1878). 후에 『반듀링론』이라고 불리는 이 책이 나오면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주의는 체계적인 과학적 이론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게 되었다. 말하자면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이때까지 공상에 머물러 있던 마르크스와..

‘과학적 무신론’의 발전-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다윈의 접촉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헤겔의 변증법과 포이어바흐의 반종교론에 바탕을 두고 철저한 무신론으로 나아갔다. 다윈은 성경의 창조 기사를 그대로 믿지 않은 것은 사실이며, 스스로 불가지론자라고 말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던 그가 교회에 나가지 않았던 이유가 근본적으로는 여기에 있는 것이다. 다윈이 남긴 저작들의 전체적인 문맥에서 보면, 그는 이신론자라고 보는 것이 맞다. 일반사회 또는 과학계에서는 대부분 다윈주의자들이 무신론을 주장한다. 다윈주의를 자처하는 저명인사들이 거의 과학적 무신론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독교 안에서도 다윈주의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부분 이신론적 입장인 유신진화론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 다윈주의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보다 다윈과 『종의 기원』을 택하고 있다. 그리..

현대 다윈주의자 마이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

『종의 기원』은 다소 애매하지만, 유신론적 해석이 가능했다. 다윈은 제1원인으로서의 창조주의 창조를 부정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현대종합설 그룹’의 일원으로서 저명한 다윈주의자인 에른스트 마이어는 이에 대해서 “다윈이 생각한 종의 특징은 유형론적 종의 개념과 유명론적 종의 개념을 혼합한 것”이라는 애매한 말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의 기원』은 당시까지 주류 사조로서 성경과 린네의 이론으로 설명되었던 “종류대로” 창조되었다는 창조주의적 유형론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다윈은 ‘진화에는 목적성이 없다’는 주장에서 유형론적 종의 개념을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다윈은 다만 창조주의 창조가 ‘한 개 또는 소수의’(one or a few) 원시 생명체만 만든 것으로 생각했을 뿐이..

『종의 기원』이론의 불가능성

(1) 광합성 작용: 식물과 동물 사이의 장벽 피터 크뢰닝(Peter Kröning, 1937-2003)은 식물의 광합성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를 한 생물학자로서 식물과 동물의 사이에는 광합성 작용이라는 또 하나의 건널 수 없는 장벽이 있음을 알려준다. 광합성 작용이란 식물이 섭취한 무기물과 태양의 빛 에너지가 식물의 엽록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원인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물질로 변환하는 화학작용을 말한다. 이때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놓는다.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이용하여 영양분을 자체 생산하는 독립 영양체이다. 광합성 작용은 엽록체를 가진 깊은 바다 속의 해조류나 지구상 그 어떤 식물도 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동물에게는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동물은 종속 영양체이다. 어떻게 엽록체의..

『종의 기원』이론의 4가지 난점

다윈은 『종의 기원』 제6장에서 이미 그의 이론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4가지 난점이 있다고 고백하고 있다. 다윈은 이 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답하고 있으나 그의 대답은 과학적인 설명이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며, 이 문제들은 현대 다윈주의 진화론자들에 의해서도 아직까지 충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① 첫째는 종간(種間)의 점진적 분화(分化) 과정에서 중간종(中間種)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난점이다. 다윈은 중간종이 멸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만족할 만한 대답이 못된다. 왜냐하면 다윈의 점진적 변이론은 작은 변이가 계속 발생하여 누적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종도 반드시 계속적으로 생겨나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간종의 증거가 없다면 다윈의 이론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는 것이다. 헉슬리도 이 때문..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한 초기 논쟁들

(1) 초기 지지자들 당시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사조는 자연에도 하나님의 섭리로서 진보를 향하는 목적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다윈의 진화론을 이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열렬한 신자인 그의 아내 엠마(Emma) 덕분에 최소한 목적론자로는 인정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다윈의 주장이 창세기의 창조기사와 다른 것이 문제되었을 뿐이다. 다윈은 다만 하나님의 유형별 창조를 과학적으로 의심하는 사람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경향에는 그의 『종의 기원』의 마지막 구절에 쓰인 “창조자”(the Creator)라는 말도 효과적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다윈은 그의 『종의 기원』 마지막 구절에서 “생명은 그 몇 가지 능..